■ 진행 : 호준석 앵커, 엄지민 앵커 <br />■ 출연 : 오건영 / 신한은행 WM그룹 부부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글로벌 경제, 우리 경제 자세하고 친절하게 해설해 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관련 내용은 오건영 신한은행 WM그룹 부부장과짚어보겠습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 <br />WM은 웰스 매니지먼트, 시청자 여러분들 궁금해하실까 봐 지난주에 제가 여쭤본 내용을 다시 말씀드렸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미국의 소비자 물가가 또 8%대 충격적이었고 금리가 그러면 앞으로 더 오를 수 있는 것 아니냐라는 관측도 나왔는데, 미국 금리 어떻게 전망하십니까? <br /> <br />[오건영] <br />가능성은 높아진 것 같고요. 소비자물가지수에서 포인트로 볼 게 뭐냐 하면 시장에서는 두 가지를 봤습니다. 첫 번째는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8.5%로 나왔거든요. <br /> <br />그런데 시장 예측치가 이제 지난 3월에 보면 국제유가가 배럴당 135달러 정도 됐었어요. 그런데 지금 보면 국제유가가 100불 정도로 내려와 있거든요. <br /> <br />그러면 아무래도 에너지 가격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조금 낮아지면서 전반적인 소비자물가지수의 하락세가 나타나지 않겠는가. 피크아웃이 되지 않겠는가, 이 기대를 갖고 있었던 거거든요. <br /> <br />그래서 내심으로는 어느 정도를 봤냐면 8.5%가 지난달이었는데 이번에는 8% 정도로 발표되기를 그렇게 지금 시장에서는 예상을 하고 있었습니다. 그런데 이게 나온 게 얼마가 나왔냐면 8.2%가 나온 거죠. <br /> <br />시장에서 예상한 것보다는 조금 더 높게 나온 겁니다. 그러면 크게 차이가 안 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. <br /> <br />중요한 것은 뭐냐 하면 소비자물가지수가 피크아웃 됐느냐보다 더 중요한 게 레벨대입니다. 미국이 가지고 있는 물가 목표가 2%입니다. 연 2% 물가 목표인데요. <br /> <br />지금 8.5%면 너무 많이 올라와 있는 거거든요. 그래서 미국에서는 점차적으로 높아져 있는 소비자물가지수를 끌어내려줘야 되는데 예를 들어서 매달 0.5%씩 떨어지는 것하고 0.2%씩 낮게 떨어지는 것하고 이 기울기가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차이가 나겠죠. <br /> <br />이런 식으로 너무 천천히 물가가 떨어지게 됐었을 때는 2%까지 갈 때 어쩌면 올해 말도 불가능하고 내년 말에도 쉽지 않겠다라는 얘기까지 나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 물가가 높은 상태로 굉장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51211285687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